유실수/석류·유자

[스크랩] 석류나무

아로마(사곡) 2010. 5. 16. 03:08
석류나무 기르기|석류나무
Tiger | 조회 204 | 08.09.30 16:07 http://cafe.daum.net/lee7065/PjGh/2 

- 기원 및 재배역사
석류는 남동유럽과 아시아에 자생하고 고대 이집트 바빌론,인도,이란에서 재배되었다. 재배가 성행된 스페인에서 16세기에 멕시코와 미국 캘리포니아로 전파되었다.
역사가 아주 오래된 과수로서 원산지가 페르시아 지방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이용되었다. 서쪽으로는 이집트 쪽으로 전해졌고 그 다음 그리스로 건너가 옛날에는 "카르타고의 사과"로 불리웠다. 지중해 연안이 주요 생산지이며 아메리카로 건너가 플로리다,루이지애나주 등에 많이 퍼졌다. 동쪽은 중국으로 2-3세기에 전해짐. 중국의 석류도입은 이란에서 2000년 전 한나라 시대에 실크로드를 통해 전해졌다.
쥬스를 포함하여 껍질을 이용한 염료,잉크,탄닌 등 여러 가지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여러 병의 치료약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 품종

현재 우리나라에는 이렇다할 품종이 구분되어 있지 않고 다만 옛날부터 가정정원에 심어져 있던 재래종 석류를 이용하여 왔는데 과실의 맛이 신 것을 신석류,신맛이 없거나 적고 단맛이 많은 것은 단석류로 구분하였고 꽃색이 붉은색,흰색,핑크색,혼합색,겹꽃,홑꽃으로 구분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이나 미국 등에서 관상용으로 도입된 것 중에는 왜성석류도 있다.

전남 고흥지역 일부 농가는 재래종에서 과실이 크고 결실이 잘되는 신석류계통을 번식하여 재배하여 소득을 올리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석류묘목은 품종도 확실하지 않을뿐더러 내한성등 여러 가지 특성이 검증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므로 구입시 주의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본에서는 大實榴라는 품종은 꽃 과실 모두 적색이고 水晶은 꽃,과실 모두 백색이며 기타 품종에는 紫紺榴,朝鮮姬 等의 품종이 있다.

중국에서는 단석류가 많이 재배 되고 있고 중국 석류연구소에서 선발한 품종은 과실이 500∼700g 에 달하는 대과종이 있다.
미국에서도 여러 가지 원예품종이 개발 되었는데 Wonderful이라는 품종이 가장 상업적으로 재배되고 있고 Purple Seed, Spanish Ruby은 정원수로 인기 있는 품종이다.
인도석류는 많은 type가 있으나 Bedan과 Kandhari가 가장 품질이 좋고 인기가 있다.
이란에는 약 80여종류가 있고 하는데 과실은 분홍,자주,노랑,녹색,흑색 등이 있고 맛도 다양하고 전 국토에서 생산하고 연간 약 100만톤에 달한다고 한다.

- 재배 적지

가.기상
석류는 열대와 따뜻한 온대기후에서 자랄 수 있다. 그러나 최상의 과실품질은 서늘한(cool or mild) 겨울과 덥고 건조한 지역에서 생산된다. 석류는 내한성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보통 -8∼-12℃정도이나 어떤 경우는 -11℃ 이하로 내려가도 피해를 심하게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유목의 경우 내한성이 아주 약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5℃정도에서도 동해를 받고 심할 경우는 고사하기도 한다. 특히 초봄의 꽃샘추위 때 가장 동해를 받기 쉽다. 내서성은 아주 강해 38∼42℃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다. 저온요구도는 확실하지 않으나 저온이 없는 열대지방에서도 자란다.

나.바람
석류는 아열대,온대지역에서는 낙엽하는 과수인데 특히 바람에 약하여 태풍이나 강풍이 불면 나무가 넘어지거나 낙엽이 심하게 된다. 특히 과실도 비바람을 맞으면 과피가 상처를 받아서 착색이 안되거나 과실이 부패하여 낙과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바람이 심하게 맞는 지역은 재배하지 않거나 방풍림을 조성 후 재배하여야 어느 정도 안전하다.

- 수분(Pollination) 및 번식
가.수분
일반적으로 곤충나 벌새에 의해 수분된다. 타가수분은 일반적으로 착과를 증진시킨다.

나.번식
번식이 아주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삽목(숙지삽, 근삽)을 이용하나 실생,취목,분주를 하기도 한다..
1)삽목 - 겨울철에 숙지삽,삽수길이 15-20cm, 직경은 연필 굵기나 더 굵은 것 이용하고 삽목시기는 2-3월 눈이 발아되기 전이 좋다. 보통 삽목상에서 1-2년간 재배한다.
2)종자번식 - 잡종이 나오므로 이용하지 않으나 파종하면 45-60일 후에 발아한다.
3)취목 - 잘 되나 노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 재식
이른 봄(2-3월) 늦서리를 피해서 심는다. 토양은 부드러워야 하고 과습하면 좋지 않다. 울타리로 이용시는 2-3m 간격으로 심는다. 흡지가 나와서 사이를 채우지고 컴팩트한 울타리가 된다. 과수원에서 이용시는 열과 주간 사이의 재식거리는 5-6m가 적당하고 정원수로 심을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석류는 심은 후 5-6년이 되어야 결실하고 유목에 결실한 과실은 숙기가 늦은 경향이 있다. 초기 수량을 높이기 위해서 밀식하거나 착과량을 2배로 하는 농가도 있으나 아직 확립된 기술이 없다. 미국에서는 표준 재식거리가 6.1×6.1m 이나 일부농가에서는 5.5×5.5m로 심는 경우도 있다.

너무 밀식하면 수확작업이 불편하고 작색이 늦게된다. 일부 농가에서는 3.7×4.3m 또는 3×2m 초밀식하는 경우도 있다. 밀식재배에서는 수확이나 전정작업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고이랑 재배를 하기도 한다.

- 정지전정

어린나무는 1주간 또는 다주간 형태로 재배한다. 관목형태는 정원이나 울타리로 재식하는 것에 적당하나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과수원에서는 적당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석류는 주간의 지재부위에서 많은 흡지가 발생하는 관목성 습성을 갖고 있다.

나무수형은 1주간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흡지는 모두 제거하여 주간이 생장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재식 1-2년에는 컴팩트한 수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60-70cm에서 절단한다. 주간에서 주지를 3-5개정도 방사상으로 생장시킨다. 제1번 주지는 지제부에서 20-25cm 정도에서 내서 신장한 가지를 3/5정도에서 절단한다.

다주간형으로 정지할 경우는 지재부에서 나온 활력 있는 5-6개의 흡지를 선택해서 영구주간으로 선택한다. 2-3년간 잘 길러서 튼튼하고 균형잡인 나무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흡지는 여름이나 휴면기 전정시에 모두 제거한다.

미국에서는 많은 재배자들이 다주간형을 선호한다. 그 이유는 동해피해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2개의 주간이 피해를 받고 나머지는 결실하기 때문이다. 또한 새 주간을 흡지로부터 정지하여 2-3년이면 회복할 수 있다. 1주간형은 지재부에서 나오는 흡지를 제외하고 완전히 죽어버릴 수 있다. 다주간으로 정지한 나무는 처음 몇 년동안은 전정도 적고 관리가 편하다 또한 1주간형보다 결실이 빠르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적합한 수형은 확립된 것이 없으나 주로 주간형으로 재배하는 것이 결실이 빠르다고 하여 선호하고 있다.

- 토양관리
석류는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견디며 알카리 또는 산성토양에서도 자란다. 토양은 토심이 깊고 식양토가 좋으나 사질토양이나 질참흙 등 여러 종류의 토양에 잘 적응한다.
수량은 일반적으로 모래땅에서 낮고 질흙에서는 착색이 불량하다. 알카리 토양에서 생육이 나쁘다. 최적 생장은 토심이 깊고 보수력이 좋은 pH 5.5-7.0이 좋다.
석류는 원산지가 이란으로 건조지대에 적합하므로 배수가 양호한 곳에 재배해야 한다.

가. 시비
어린나무는 8-8-8복비를 1kg 정도 11월과 3월에 시비하고 성목에서는 2-3kg를 같은 간격으로 시비한다. 시비시기는 가을 또는 겨울에 한번 시용한다. 푸석푸석한 땅은 겨울과 봄으로 분시하는 것이 좋다. 과도한 질소 시비나 늦은 시비는 과실의 성숙을 지연시키거나 착색과 품질을 감소시킨다.
가리나 인산비료의 시용했던 과수원에서 생장이나 과실품질을 개선시킨 보고는 아직 없다. 가끔 아연결핍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나 휴면기에 아연을 살포하거나 봄이나 초여름에 엽면살포하면 교정된다.

나. 관수
석류는 오랜기간의 가뭄에도 견딜수 있다. 가뭄이 계속되면 생산량은 감소해도 여러해 동안 견딜수 있다. 적당한 관수는 나무의 생육을 촉진히키고 수량은 높일 수 있다. 여름철이 잦은 강우는 수량은 증가시킬수 있으나 과실이 연해져서 저장품질과 저장력이 저하시킨다.
석류의 수분 요구량은 감귤류와 유사한 연 125-150mm으로 지나치게 건조하면 7-10일간격으로 관수한다. 여름철 후기와 가을철 초기에 적당한 토양수분을 유지해야 과실의 열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약간의 침수에 대해서 내성를 가지고 있다.

- 병해충
석류에서는 심한 병은 없으나 과실은 가끔 속썩음병 피해를 받는다. 이병은 개화기때 발생하여 점차 과실내부로 진행한다. 감염된 과실의 과정부 구멍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부패한다. 그러나 껍질은 영향하지 않는다. 감염여부를 구별하기 힘들지만 경험 있는 사람은 감염된 과실은 따서 제거한다. 현재 방제법은 없으나 전정할 때 오래된 과실이나 감염이 염려되는 가지를 잘라 없앤다. 이병은 개화기 때 많은 비가 오면 많은 과실에 발생하는 걸로 보아 개화기의 수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충으로는 주로 새순이 자랄 때 진딧물이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적용약제를 살포하면 방제할 수 있다. 또한, 깍지벌레나 주머니나방,잎말이 나방등이 발생하나 적용약제를 살포하면 방제 가능하다.

석류는 농약이나 제초제 등에 매우 민감하여 약해가 발생하기 쉽다. 특히 제초제는 석류 잎에 조금만 뭍어도 낙엽이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 살균제나 살충제를 혼용 살포하거나 할 때도 주의해야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석류나무 전용약제가 없으므로 농가에서는 농약의 혼용여부와 농도를 잘 준수하고 의심스러울 때는 일부만 살포해 보고 문제가 없을 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자료/대전광역시농업기술센터

 

 

석류나무 [-, pomegranate]

 

 

 

학명 Punica granatum
분류 석류나무과
원산지 이란·아프가니스탄·히말라야
크기 높이 5∼7m
효용 관상용, 약용

 

석류의 특징


- 설류나무의 잎에는 벨르산과 우르솔산이 포함되어 있다.
- 아름다운 붉은 꽃은 염색용으로 또 의료목적으로써 구내궤양, 치육  

       염, 목구멍의 상처및 편도선에 쓰이고 있다.

껍질 - 석류나무의 잎은 사계절 그때 그때에 다른 색채를 보여서 염색용으

       로, 또는 의료용으로 식용증진, 강장제로써, 또는 허약체질인 사람에

       게 있어서는 생약으로써 사용되어 진다.
     

 G.I.M.P의 보고에 따르면, 석류나무의 나무 껍질에는 유기화학 성분으로써, 풍부한 알카로이드와 페르체렌을 함유하고 있다.
또 벨르산과 우르솔산도 함유하고 있다.
     
옛날, 의료로써 석류나무의 나무껍질은 많은 질환 및 복통, 구내궤양, 치통, 목구멍이나  배의 통증, 또 많은 만성질환, 조충증의 난해를 위해 사용되어졌다고 한다.
      
페르시아인은 고대부터 석류나무의 나무 껍질및, 과실의 껍질을 유명한 페르시아융단의 붉은 색과 황색의 염료의 원료로써 사용해 왔다.
이 색은 UV차단의 효과가 있다.

뿌리 - 뿌리에는 풍부한 탄닌을 함유한 석류나무의 나무껍질과 같은 모양

          으로 4종류의 알카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과실 - 석류나무는 페르시아에 자생하고, 그 흔하지 않은 맛, 풍부한 영양

          분 및 의료를 위해 오랜동안 재배되어져 온 역사가 있다.
      석류나무는 주로 이란에서 재배되고, 국내는 물론 국제인들에게도 이

      란산의 근사한 과일로 수출되고 있다.
    
      열매에는 단맛과 신맛이 있는 것으로 두 종류가 있지만, 그 외에 드문 

      종류로서는 검은 것이 있는데 이것은 약용 및 염색용으로 사용되고 있

      다.

 

 

성   분

작   용

결핍증과 효용

당류

포도당

가장 중요한 에너지의 근원

에너지보급

후르크당
쇼당
이메린

에너지의 근원

아미노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체조직세포의 구성요소
신경전달물질
신경기능유지작용

정신기능장해

미네랄

칼륨

신경세포와 근육의 흥분성
조정작용

근무력상태
의식장해
심기능 장해

비타민류

비타민 B1

항신경염인자

각기, 식욕부진, 피로
체중감소

비타민 B2

점막·피부보호작용

점막염이나 피부염
(설염, 구순염, 구내염, 각막염 피부건조등)

나이아신(니코친산)

항페라그라인자

페라그라
(발적, 수포, 피부각화, 색소침착,
설발적, 만성설사)
중추신경증상
(두통, 불면, 현기증)

비타민 C

혈액벽보호작용
항빈혈작용 · 항암작용

괴혈병, 빈혈

탄닌류

탄닌

지혈작용, 항균
항우바이러스작용, 소염작용

급성·만성설사, 지혈, 구내염,
인두염, 후두염, 편도선염,
치조농루, 수충치료

에라그산

진정작용, 정신안정작용
항케이린작용, 이뇨작용
혈액응고촉진작용,항암작용
탄산탈수효소, 조해작용
에이즈예방

불안증, 불면, 숙취, 통풍,
지혈이뇨, 녹내장, 암예방
 


 


에스트로겐
(여성호르몬)

난소를 생성하는 난포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의 총칭
      (에스트라지올, 에스트론, 에스트리올로 구성)
남녀 모두 체내에서 합성 분비되며
생식기능 및 몸 전체의 생명유지와 깊이 관련


여성의 경우

성기능의 발달과 임신기능을 도와주며
에스트로겐의 분비 량이 감소하면 생리불순과 불임
                                                      갱년기 장애를 초래


남성의 경우

정액 농도를 높여주고
알츠하이머, 파킨슨병의 예방 및 치유에 효과

 

 

 

저도 자세하게 알지는 못하지만 아는대로만 이야기하자면..^^

1. 어떤종으로 심어야 합니까..

우선 이것은 님이 매실과 석류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지 가공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순 판매라면 접붙인 대목을 사야하고 가공판매를 하면 야생종을 구입하시는게 좋습니다. 매실은 토종청매실 왕매실 여러 종류가 있고 장단점이 있습니다. 우선 어떻게 판매할것인가를 정하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요즘에는 접붙인 것들을 많이 쓰긴 합니다.

2. 몇미터 간격으로 심어야 합니까?
여기에 관하여는 여러분들의 의견들이 분분한 부분입니다. 어떤 분들은 1m간격정도로 밀식하고 키를 작게 하여 심어야 한다는 분(잡초발생의 억재와 열매 수확에 유리)도 있고 어떤 분은 넓게 심어서 태양빛을 받는 것을 최대화 하여(수광태세의 유리, 건강한 나무 생장에 유리) 심어야 한다는 분도 있지만 제의견은 우선 묘목 상태에서는 1m20cm정도 간격으로 심는것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거기서 우열 분리가 된다음 근경(뿌리 밑둥둘레)가 10cm정도 되면 1.5m정도로 정식해 주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3. 비료를 주는 방법
비료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화학비료와 퇴비 이렇게 두가지가 있는데 화학비료를 안쓰는게 좋다고는 하지만 현실이 그렇게 되지않아서 ^^; 어쩔수 없이 쓰고있습니다. 화학비료에는 질소, 인산, 가리 이렇게 3대영양소와 기타 미량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화학비료는 초보때는 그냥 임업협동조합에서 판매하는 산림용비료(알비료)라고 하는 경기화학에서 나오는 비료를 쓰는것이 편합니다 주는 시기는 봄이 좋을듯 합니다. 주는 방법은 1100평정도면 그리 넓은 땅은 아니니...나무 주변을 둥그렇게 파고 그속에 산림용비료를 5알정도(묘목때는 이정도고 지나면 지날수록 양은 조금씩 늘려야함) 넣고 다시 흙으로 묻어주는것이 좋습니다. 흙으로 묻어주는면 빗물에 의한 유실등을 막을수 있습니다.

그리 퇴비는 봄과 가을 이렇게 두번을 주는것이 좋고 많이 주어도 별다른 피해가 없으니까 많이 줄수록 좋겠죠...^^퇴비를 많이 주어야 좋은 흙을 만들수 있고 좋은 흙이 만들어져야 좋은 열매를 수확할수 있답니다.

4. 언제쯤 심어야 합니까.

나무를 심는 계절은 크게 늦가을과 이른봄이 좋습니다. 하지만 묘목을 원할하게 구할수 있는 시기는 이른 봄이니까 이른 봄이 좋겠습니다. 눈이 녹으면 바로 밭을 갈고 묘목을 구해서 심는것이 좋습니다.

5. 어떻게 열매가 익었나 알수 있나요.

우선 석류는 빨간색의 속이 보이면 다 익은것이고 매실의 경우 매추리 알정도의 크기가 되면 수확하는것이 좋습니다. 매실의 경우 너무 익은 것은 술도 차도 담기 힘들어 푸른 색이더라도 매추리 알정도의 크기가 되면 수확하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자세한 것은 묘목상에 문의하시는것이 제일 좋을듯 싶고 또 매실이나 석류 나무를 심는다고 해도 3년정도 지난후에나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동안의 기간동안 나무에대하여 배우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6. 그루당 가격

매실 접목의 경우 그루당 6,000원 정도의 가격을 올봄에 형성했지만 내년에는 매실경기의 부진으로 좀더 떨어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석류의 경우에는 많이 찾지 않는 나무이기 때문에 더 높은가격을 형성할것 같습니다. 예상 가격을 정하자면 매실접목의 경우 1000주 구입해서 주당 5,000원 예상하시고 석류 500주 구입해서 7,000정도 예상하면 좋을것 같고 나무 가격의 협상은 우선 말하기 나름이기 때문에 잘하셔합니다. (나무에는 정가표가 안붙어 있어서..^^;;)

출처 : 꿈꾸는정원
글쓴이 : 수선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