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실수/감나무

감나무 병충해 예방

아로마(사곡) 2011. 10. 10. 00:48

감에는 탄저병. 원성낙엽병.각반성낙엽병.흰가루병 등이 있고
충으로는 감꼭지나방.루비깍지별레.깍지별레.노린제 등이 있다.
과수원의 병충해는 미리 예방으로 시기가 오면 약을 살포해주면 깨끗한 품질의 감을 수확할수 있다.


1.봄 잎이 피기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고
5월 중순 꽃피기 직전에 탄저병.낙엽병.흰가루병을 막기위해 다이센엠45나 벤레이터 ,같은 약을 예방으로 뿌리고
감꽃이 진후 10일후가 아니면 약해가 생겨 감에 검은 반점이 생길수 있으니 조심해서 첫번째 약은 순하게 (15말용을 20말정도로 타서 6월5~10경부터 10일 간격으로5~6회 예방으로 약을 뿌려주면 된다. 살균제를 뿌릴때 살충제도 같이 혼용함
 

2.석회유황합제 살포전 기계유유제 쳐주시고 꽃피기전 (5월 15-20일) 에 살충제 살균제 6월 10-15 일 사이에 살충제 살균제 치시고 7월 5-10일경에 살충제 살균제 방제 하시고 8월 20일경에 살충제 살균제 방제 하면 될것 입니다

적용약제로 "보가드(입상수화제)를 추천합니다(과수박사), 그 이유는 적용병해가 둥근무늬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이 동시 방제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시기는 흰가루병이 감염되는 시기입니다

 

1.2번중 한가지 선택하여 방제

 

줄기에 오는 탄저병을 막기 위해서는 6월 10일경 부터 10~15일 간격으로 탄저병약으로 방제해야 한다.

특히 장마철에 방제를 잘해야 하며 줄기가 목질화 되는 8월 이후에는 방제 간격을 좀 멀리해도 괞찮다.

방제약제로는

장마전에는 다이세엠45,

장마기에는 실바코, 다코닐, 벤레이트 등을 바궈가면서 방제하면 방제가 잘 된다.  

-과수박사-


1.둥근무뉘낙업병 :잎에 점무늬같은 병이 발생

2.원성낙엽병
원성낙엽병은 100일동안 잠복기를 거처 100일 후에 낙엽이 지기 때문에
5~6월에 잎이나 열매에 포자가 들어가서 100일후인 9~10월초에 낚엽과 감이 떨어 집니다
병원균 포자는 낚엽이나 가지에 부터서 월동하여 봄에 일차 발아하여 포자를 뿌립니다.
가지와 잎을 겨울에 모아서 불태우든지 모아서 비닐로 덮어서 바람이 통하지 않토록 해야 합니다.
약을 뿌릴때는 한가지 약을 연용하지 말고 다른약으로 바꾸어 가며 뿌려주어야 합니다

 

감 원성낙엽병을 적기에 예방합시다.

□ 감 원성낙엽병은 적기 예방이 중요합니다.

○ 원성낙엽병이 발병되면 잎이 일시에 조기낙엽 되고 열매도 물러져    상품성을 잃게되는 병으로 방제적기는 병포자가 비산하는 5하~7상순이며 발병된 후에는 어떠한 약으로도 방제가 불가능하므로 적기에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방제요령

○ 거름기(질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적절한 비배관리를 해주고

○ 병 포자가 비산하는 5월하순부터 7월상순까지 10-15일간격으로 적용약제를  3회 살포하되 탄저병과 동시에 방제되는 약을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1차 방제에는 감꼭지나방약과 동시에 방제하되 2차 방제(6중순)에는 깍지벌레약을 동시에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적용약제

    - 원성낙엽병 : 다이센엠45, 지오판, 베노밀, 시스텐엠, 온마을, 델란,보람, 벨쿠트, 헥사코나졸, 스팟트, 다코닐 등

    - 깍지벌레 : 수프라사이드

    - 감꼭지나방 : 칼탑, 스미치온, 데시스, 파마치온, 노몰트, 미믹등

□ 방제효과를 높이려면

○ 수고 낮추기와 정지전정으로 환경조건을 개선하여 방제하기 쉬운 수형으로 만들어 주고

○ 적용약제를 선택하여 적기 살포하되 희석배수를 지켜 충분한 량 을 뿌려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약제방제시 약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 하십시요

   - 고온기 한낮 살포를 지양하고 살충살균제 혼용시 혼용가부 확인(혼용시 약해우려 : 다코닐+스미치온, 다코닐+수프라사이드)

   - 희석배수를 준수하여 한번에 충분한 량을 살포하되 중복살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