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반시의 주요 병해충은 원성낙엽병, 탄저병, 흰가루병과 깍지벌레가 있습니다.
1. 원성낙엽병은 감농사에서 피해가 가장 큰 병으로 방제적기는 지난해 묵은 잎에서 월동한 병포자
가 많이 비산하는 5월하순부터 7월상순에 10일간격으로 3회 방제하면 됩니다.
2. 탄저병은 특히 열매에 피해를 많이 주는 병으로 음지쪽과 같이 포장내 습도가 높은 과원에서
발생이 많은 병입니다. 발생이 심한 감밭은 5월상순 개화전 방제와 원성낙엽방제시 탄저병과
동시에 방제되는 농약을 선택하여 방제하여 주시고 8월중순과 9월상순에 다시 방제하여 하면
됩니다.
3. 흰가루병은 습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때에 발병이 많이 되는 병으로 발병이 확인되면 즉시 적용
약제를 살포 할 경우 방제할 수가 있습니다.
4. 깍지벌레는 1년에 2회정도 발생하는 해충으로 방제요령은 4월상순경 석회유황합제 5도액살포
와 1차부화기인 6월 중순과 2차 부화기인 8월 중하순에 방제하면 됩니다.
5. 이외에도 감꼭지나방과 다른 병해충도 있습니다만 우리군 전체적으로는 크게 피해를 주지 않는것
같습니다.
* 병해충방제시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분한 량을 살포하는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원성낙엽병이나 탄저병과 같은 예방위주로 방제해야하는 병은 더욱 그러합니다.
감나무는 키가 크고 잎이 넓으서 골고루 방제하기가 어려우므로 노즐을 가늘게해서 약액의 입자를
미세하게 하는것이 잎의 뒷면까지 골고루 방제하는데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유실수 > 감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과수 겨울철 가지치기 요령-단감 (0) | 2010.10.23 |
---|---|
낙과의 원인(과수박사) (0) | 2010.09.02 |
감나무전정 (0) | 2010.07.10 |
[스크랩] 단감 정지․전정 지침서 (0) | 2010.04.10 |
[스크랩] 청도반시가 씨가 없는원인 (0) | 2010.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