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재배/눈개승마·스테비아

[스크랩] 눈개승마(삼나물) 재배법

아로마(사곡) 2015. 5. 5. 00:46

 

 

 

 

 

눈개승마(삼나물) 재배기술

 

 

1. 성 상

고산지대 및 울릉도에서 자라며 높이 30~100cm이며 근경은 목질화 되어 굵어지며 밑부분에 떨어지는 인편이 몇개 붙어 있다. 잎은 2~3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좁은 난형 또는 난상원형이고 끝이 뾰족하거나 꼬리처럼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결각과 톱니가 있고 때로는 우상으로 갈라지며 길이 3~10cm, 나비1~6cm 정도이며 흔히 윤채가 있다 골연은 밑으로 향하며 익을때는 윤채가 있고 길이 2.5mm 정도로서 긴 타원형이며 암술대가 짧다.

꽃은 2가화로서 6~8월에 개화하고 황록색이며 원추화서는 길이 10~30cm로서 짧은털과 짧은 소화편이 있다. 꽃받침 은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로서 주걱모양이며 수꽃 20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곳추선 3개의 자방이 있다.

2. 용 도

가. 식품 및 약용

어릴 때 잎이 삼(蔘)잎 같다 하여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부른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하며 울릉도에서는 옛부터 잔치때나 명절날에 쇠고기국을 끊일 때, 제수용 나물로 삼나물을 쓰고 있으며 맛이 좋다. 약용은 전초로 해독, 정력, 편도선염, 지혈에 이용되고 있다.

삼나물은 이른봄부터 눈속에서 자라기 시작한 어린 새싹을 채취하여 삶아서 말린 알칼리성 산채로서 비빔밥, 무침, 찌개, 탕류 등 다양하게 요리할 수 있는 고급 산채이다. 맛은 쫄깃쫄깃한 질감이 있으면서 고소한 맛이 나므로 기호성이 좋다. 눈개승마는 이용도가 다양하여 여러 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요리하는 방법은 끓는 물에 10~15분 정도 삶아서 물을 짠 다음 약간의 간장과 식용유를 넣고 마늘, 깨소금 등으로 양념을 해서 먹거나 초고추장에 무쳐 이용하기도 한다. 해장국 등에 넣을 수도 있으며 특히 비빔밥에 이용하면 맛이 좋다.

나. 지피식물 및 조경

눈개승마는 식품으로 이용뿐만 아니라 지피 녹화용으로 이용하여도 가치가 있다. 6-8월에 군락으로 피는 흰색의 꽃은 매우 아름답고 잎은 가을까지 낙엽이 지지 않으며 푸른색을 계속 유지하고 있어 정원 식재 등 조경용으로 손색이 없다.



경사지 토양 유실을 저감시키는데에도 효과가 좋다. 토양유실을 저감시키는 요인은 뿌리의 총근장이 대단히 크고 표면적이 커 토양중의 함수계수인 포화수리전도도가 배추의 경우 0.07㎡인데 비해 눈개승마는 1.45㎡ 로 나타났으며 3년생의 근권은 세근 형태의 뿌리가 무수히 많이 발생하여 작토층 전체에 넓고 깊게 분포하고 있다.

또한 눈개승마는 엽면적지수와 피복도가 높아 강우에 의한 완충능력을 향상시켜 토양 유실을 적게 하고 지표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며 증발량을 최소화하고 잡초 발생을 경감시키며 재배후 잔존물은 유기물 급원 및 토양 물리 화학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도 다년생으로 매년 경운작업이 필요 없는 것도 유실방지에 큰 도움을 준다.

<토양 유실 저감 요인>

구 분

눈개승마(A)

배추(B)

대비(A/B)

잔존건물중(kg/10a)

118.2

12.0

9.9

총근장(m)

1,859.7

4.5

413.2

근표면적(㎠)

1.5

0.1

15.0

근부피(㎤)

546.7

221.8

2.5

※ 뿌리직경 2mm이상 조사, 조사 주수(눈개승마 5주/㎡, 배추 5.6주/㎡)

3. 식품성분

주성분은 Salicyladehyd, Saponin, Spirein이 있으며 에너지 254kcal, 수분 7.5%, 단백질 22.8g, 지질 2.2g, 당질 50.5g, 섬유소10.8g, 회분 6.2g, Ca 25mg, P 586mg, Fe 2.4mg, Vit B2 0.34mg 등이 있다.

<삼나물의 영양성분표> (말린 것, 가식부 100g당)

○ 일반성분(%)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조회분

탄수화물

7.5

22.8

2.2

10.8

6.2

50.5

○ 무기물, 비타민

무기물(mg)

비타민(mg)

A

B₁

B₂

C

나이아신

칼슘

철분

칼륨

비타민A

(IU)

베타카로

틴(㎕)

25

585

2.4

-

737

(88)

-

0.34

0

4.3

5. 재배기술

눈개승마는 울릉도 대표적 나물로 거래 되고 있으나 내륙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재배화되지 않았고 자생하고 있는 눈개승마를 채취 형태로 소량씩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나 최근 강원도를 중심으로 그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 울릉도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면적은 약 50ha 정도이며 생산량은 10M/T 내외로 추정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재배기술 개발이 되어있지 않으며 재배면적이 적어 생산량도 미미한 실정이다.

그러나 눈개승마는 앞에서 언급한 조경, 지피 식물로서도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으로서 기호도가 좋아 앞으로 재배기술 <눈개승마 재배현장> 개발이 필요하며, 식품으로서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배자 측면에서 본다면 한번 식재로 다년간 재배할 수 있다는 점과, 성묘 단계에서는 제초작업이 거의 필요 없어 노동력을 절감하는 차원에서는 매우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가. 재배적지의 선정

눈개승마는 반음지 식물로 햇볓이 강한 장소에서는 생육이 떨어지고 생산물의 품질도 나빠지므로 여름철 온도가 30℃이상 되지 않는 지역이 유리하며 햇볕이 너무 강하게 쬐면 일소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해가 짧은 계곡이나 산간지의 북~북동 방향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생육기간 중에 습도가 적당히 유지되는 장소가 좋으며 가뭄이 심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다.

토양은 배수가 양호하고 부식질이 많은 사질 양토로 경사진 곳 등이 적합하다. 표고는 준고랭지 이상 서늘한 곳이 재배 적지이며 평지에서도 재배는 가능하나 여름철 고온 및 과도한 일사량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야 한다.

나. 종자 채취

종자는 암, 수 이주로 숫꽃에서는 종자 결실이 되지 않는다. 종자의 채취 시기는 9월 하순경 암그루에서 70% 정도 갈색으로 변해 고개를 숙일 때 수확할 수 있는데 꽃이 6~7월경 핀 후 종자가 익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잘 못하여 너무 이른 시기에 채종하게 되면 미숙 종자를 채취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충분히 기다렸다가 9월 하순부터 10월 상순사이 채종하여 미숙 종자를 채취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눈개승마의 종자는 아주 작은 미세 종자로 종자의 겉피 내부에 작은 먼지 같이 들어 있으므로 꽃대를 잘라 바람에 날라가지 않도록 일주일 정도 말렸다가 떨어낸 후 통풍이 양호한 장소에 보관한다.

다. 종자의 휴면

눈개승마 종자는 휴면을 하므로 파종시 저온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휴면 처리는 0~5℃에서 20~30일 습윤 저온 저장하였다가 파종하면 휴면 타파가 되어 발아되지만 습윤 저장 후 파종시 작업이 손에 붙어 파종 작업이 불편해 질 수 있으므로 파종시기를 충분히 앞당겨 일찍 파종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휴면이 타파되어 작업의 불편을 덜 수 있다. 따라서 파종 시기는 발아되는 날을 기준으로 30일 정도 전에 파종한 후 충분히 저온이 유지 될 수 있도록 그늘진 장소에 두었다가 발아상에 옮겨 주도록 한다.

휴면타파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발아율이 낮고 발아된 묘의 생육도 떨어지므로 충분히 처리하도록 한다.

라. 종자의 발아특성

눈개승마의 종자는 미세종자로서 영아자(Asyneuma japonicum Briq.) 종자의 약 3분의 1정도로 먼지 같은 정도로 작아서 파종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육묘상을 별도로 만들거나 포트육묘를 하였다가 이식하여야 한다.

<눈개승마 종자의 형태적 특성>

lℓ중

(g)

종자수

(천립)

종자두께

(mm)

종자길이

(mm)

461

18,312

0.08

0.59

눈개승마의 종자는 암조건에서도 발아되나 대체로 광조건에서 발아가 양호하여 깊게 복토하는 경우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지므로 파종시 주의가 필요하다. 파종상에 파종하는 경우에는 파종후 롤러 등으로 진압해 주며 복토는 하지 않도록 한다. 눈개승마 종자를 30일 정도 5℃ 저온 저장한 후 온도별로 발아시키면 20~25℃ 조건에서 70~73% 발아되며 30℃ 이상의 고온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종자의 적정 발아온도>

발아상 온도

(℃)

저온(5℃) 처리일수(일)

10

20

30

15

5

42

67

20

12

50

73

25

10

46

70

30

10

21

26

마. 파종 및 육묘

파종은 파종상을 만들어 이용하거나 포트육묘를 할 수 있다. 파종상에 파종하는 경우에는 잡초 종자가 없는 곳에 파종하여야 하는데 눈개승마는 발아묘가 매우 약하고 가늘며 생육기간이 길어 잡초 종자가 많은 파종상에 파종하게 되면 손제초가 불가능하게 되므로 반드시 이를 고려해서 파종상을 선정하여야 한다. 육묘를 하는 경우에는 128공에 파종후 50~60일 정도의 육묘기간이 필요하다. 포트육묘를 하는 경우에는 파종후 저온에 30일 정도 보관하였다가 발아 장소로 옮겨 놓으면 발아가 잘 된다. 이때 저온 처리가 충분히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발아되는데 20일 정도 소요된다.

종자를 파종한 후에는 상면이 마르지 않도록 세심한 물관리를 해주어야 하는데 발아 된 후 30일까지는 특히 상토가 마르게 되면 바로 고사하므로 습기가 충분히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파종상은 55% 차광망을 이용하여 직사광선을 가려주어야 하며 무차광하에서는 어린묘가 일소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고사한다.

바. 정식

본밭에 심는 간격은 장기적으로는 60× 30cm 간격으로 심는 것이 좋으나 이렇게 넓게 심으면 1~2년차에 제초량이 늘어나게 되므로 40× 30cm 정도로 심는 것이 적당하다. 심기전에는 추후에 늦가을 또는 겨울에 퇴비 추비를 줄 수 있도록 차량 출입 통로를 남겨 놓는 것이 좋다.

심는 시기는 재배지가 그늘진 곳이면 활착이 잘 되므로 포트묘를 만들어 두었다가 봄 식재하는데 문제가 없으나, 건조하고 일사량이 많은 곳이면 묘를 충분히 키워 가을 식재하는 것이 안전한 방법이며 조건 불리 지역에 어린묘를 봄 정식하는 경우에는 고사율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가을식재묘는 4월부터 8월까지 육묘 후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 사이에 본밭에 정식하는 방법이며 활착율이 높으므로 약간 불리한 지역에서는 가능한 안전한 방법으로 식재하는 것이 좋다. 다만 가을정식이 늦어지게 되면 당해 년도에 뿌리 활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이듬해 봄에 서릿발에 의해 들뜨게 되므로 이런 경우에는 밟아 주기를 하거나 흙으로 약간 복토를 해 주어야 한다.

<이식시기별 활착율>

이식시기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육묘

기간

(일)

상 자

45

-

-

-

-

-

노 지

-

31

61

92

123

153

육묘일수

45

76

106

137

168

198

활착율(%)

46

40

36

35

87

82

봄 식재시에는 정식후 차광 처리를 해 주는 것이 활착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지만 넓은 면적에 차광 처리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므로 적지 선정을 잘 하면 노지에서 차광이 필요 없게 된다.

<노지 봄 정식시 차광 처리 활착율>

구 분

초장(cm)

엽록소

활착율(%)

비고

차 광

20.3

21.5

94.3

주 2회 관수

무 차 광

16.4

18.8

88.3

주 2회 관수

정식한 후 뿌리가 활착되기 전 추비는 고사율을 높이게 되므로 2주 정도 지난후 뿌리가 활착되기 시작할 때 주는 것이 활착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정식후 추비 시기별 활착율 비교>

구 분

정식직후

정식후 7일

정식후 14일

정식후 21일

활착율(%)

52.6

68.3

88.7

88.0

정식시 잡초 억제를 위하여 흑색 비닐 멀칭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눈개승마의 정식시 무차광, 흑색비닐 멀칭, 흰색비닐 멀칭 처리를 한 결과 흑색비닐 멀칭시 고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도 차광 처리한 경우에는 활착율을 훨씬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멀칭방법별 활착율>

구 분

무멀칭

흑색비닐 멀칭

흰색비닐 멀칭

무차광

차광

무차광

차광

무차광

차광

활착율(%)

96.3

100.0

72.2

83.6

87.0

92.0

눈개승마를 봄식재 하는 경우 고사율이 높은 원인은 어린묘의 생장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혹서기인 8월에도 어린묘 상태에 있으며 이렇게 어린묘 시기에는 건조 및 햇볓에 약하고 고온으로 인한 생육장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8월 중순경 눈개승마를 정식한 포장의 지표 및 지중 온도를 측정한 결과 아래와 같이 매우 높은 온도를 나타냈다. 그 중 흑색비닐 멀칭을 한 경우 지표 온도는 46.5℃까지 상승하였으며 어린묘의 뿌리 부분인 지중 3cm의 온도도 45.6℃로 고온이었으며 멀칭하지 않은 처리구의 온도가 비교적 멀칭 처리구의 온도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여름철 불리 조건을 피해가기 위해서는 가을 정식이 안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사. 재배방법

(1) 지대별 재배환경

지대별(표고)별 눈개승마 식재 3년생 수량을 조사한 결과 고랭지 지역이 수량이 높았으며 건물비율도 고랭지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은 4~5년생의 경우 3년생에 비해 훨씬 높아지며 10a당 생산량은 이를 감안하여야 한다. 표고별 수량성은 낮은 지역에서의 수량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나 해당 지역의 일사량, 습도 등 다른 환경 요인이 많이 작용하므로 추후 보다 정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년생의 표고별 수량성>

구 분

수량(kg/10a)

건물비율(%)

생중량

건물량

고 랭 지

표고 700m

460

61.1

13.3

표고 590m

439

57.5

13.1

평 지

표고 100m

199

24.8

12.5

표고별 수확시기는 고랭지 지역이 4.20일이었으며 평지 지역은 4.14일로 6일 정도 빨랐고 수확경수는 고랭지 지역이 11~12개로서 순 길이도 평지 지역보다는 길었다. 표고별 수확 상품의 특성은 평지 지역은 잎이 일찍 펴 상품성이 떨어지고 순의 굵기, 길이에 있어서도 불리하였다.

<지대별 수확시기 및 생육>

구 분

수확시기

(월,일)

경수

(개)

경중

(g)

경경

(cm)

순길이

(cm)

지대별

고랭지

표고 700m

4. 20

12

7.1

1.04

14.5

표고 590m

4. 20

11

7.4

1.05

14.3

평 지

표고 100m

4. 14

8

4.6

0.72

9.2

재배 방법별 수확기 생육은 고랭지 표고 590m에서 재배시 하우스 차광 30% 조건에서 가장 좋았으나, 노지 차광조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물론 하우스에 식재하기에 적합한 품목이라 하기는 어렵지만 하우스 차광 조건에서의 생육이 좋은 점을 감안하면 수분 관리, 차광 조건 등을 노지에서도 재배시에도 고려 한다면 생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시험에서는 55% 차광 재배시 초장 및 연화경장 신장이 촉진되며 무차광시 10a당 384kg에 비해 33% 증수된 512kg을 수확할 수 있다는 결과도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차광의 정도는 지역 환경이 조금씩 다르므로 일사량의 정도 및 표고에 따라 약간씩 변경될 수 있다.

<재배 방법별 수확기 생육>

구 분

경수(개)

경중(g)

경경(cm)

순길이(cm)

노 지 무 차 광

8

5.9

0.86

12.9

노지 차광 30%

12

8.2

1.04

15.2

하우스차광30%

13

8.7

10.7

15.0

(2) 시비량

눈개승마는 생육중 비교적 시비 요구량이 많은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까지 알려진 시비방법은 아래 표와 같으며 보다 정밀한 시험을 통한 시비량 구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분

시비량(kg/10a)

주는시기

기비

퇴비4,000, 질소14, 인산19, 칼리9

정식전 20일

추비

요소 10, 복비(18-18-18) 25kg/10a

2회(정식 30일후, 7월 상순)

아. 수확

어린 순이 20cm 정도, 본엽이 1~2매시 수확하며, 년 2회 정도 수확할 수 있는데 2차 수확은 1차 수확 후 약 일주일 후에 할 수 있고 과도한 수확은 생육에 지장을 주며 채종량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3차 수확은 하지 않도록 한다. 수확후에는 영양 생장이 잘 되도록 비배관리를 철저히 해야한다.

수확물은 끓는 물에 데쳐 반쯤 말린 다음 비벼서 건조시킨다. 잎이 많이 펴진 상태에서 수확한 것은 말리는 과정에서 부서지게 되므로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고온 조건에서는 순이 가늘고 짧으며 잎이 일찍 피게 되므로 재배 적지 선정은 상품성과도 연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출처:강원도농업기술원 특화작물시험장 평창분소

출처 : 화순 백아산 백약원(百藥園)
글쓴이 : 백아산(김현수) 원글보기
메모 :